조형에 대한 이해
창의적인 생각과 감정
실험, 탐구, 구조 및 조형을 이끌어 내어
분석하는 능력과 창의적인 감각이 성장 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습니다.

Screen+Shot+2019-07-20+at+10.02.16+AM.jpg

소묘 DRAWING

학생들은 다양한 미디어 ( 잉크, 목탄, 연필, 콜라쥬등)을 가지고 사물을 보는 방법, 이해하는 것을 시작으로 표현해갑니다. 이 과정중에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명암방법의 입체소묘로 하는 수업방식과는 다르게 고도의 집중을 필요로 하는 사물의 관찰을 통한 표현력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수업 중에는 목탄과 연필 사용하는 전통적인 재료와 기법 이외에도 newspaper 혹은 cardboard, 콜라쥬 등과 같은 재료와 소재로 화면구성을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 중에는 기본 사물의 묘사뿐만아니라 화면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독창적인 조형감각을 키우게 됩니다.

Screen+Shot+2019-07-20+at+10.04.31+AM.jpg

회화 PAINTING

관찰을 통한 튼튼한 드로잉의 기초 위에 학생들은 (수채화, color pencil, pastel, 아크릴, 포스터물감, 유화등)의 다양한 물성을 가지고 자신의 작품스타일에 맞추어 어떻게 표현해 나가는지에 촛점을 맞추어 돕고 있습니다. 특히 화면을 처리해 나갈때 조형적 감각과 화면구성의 균형감을 발전 시킬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sundae.jpg

디지털 아트 DIGITAL ART

Adobe Illustrator, Photoshop등 기본적인 툴의 이해와 사용을 배운 후 각자 스스로 아이디어를 가지고 조형감각에 맞추어 화면을 구성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자신만의 창의적인 작품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미디어의 도입으로 효과적인 적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폭 넓은 시각예술의 표현과 실험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이러한 디지털 미디어의 사용을 습득함으로써 시각적 응용 능력을 키우고 자신만의 발상능력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ucla10.jpg

조소 설치 INSTALLATION

조각의 기법은 크게 점토 모형제작, 주형과 주물제작, 아상블라쥬 (여러가지 물건을 평면이나 입체로 조합하는 방법)의 세가지로 나뉘어 배우게 됩니다. 또한, 드로잉의 한 방법으로서 점토나 철사 구조물, 그리고 간단한 아상블라쥬로 “3차원 스케치”를 익히게 됩니다.